티스토리 뷰
반응형
엘라스틱 서치를 설치하고 한글 형태소 분석기를 사용하기 위해 노리 플러그인을 설치한다.
https://www.elastic.co/guide/en/elasticsearch/plugins/6.4/analysis-nori.html
공식 문서에서 bin/ 으로 시작하는게 서버에서 /usr/bin 을 이야기하는건지.. 좀 헤메었는데
엘라스틱서치가 설치된 경로에 bin/ 이었다는것을 이틀 후 알게되었다..
설치는 간단하다.
sudo /usr/share/elasticsearch/bin/elasticsearch-plugin install analysis-nori
위 한줄이면 된다.
그리고 서비스 재시작을 해준다.
sudo systemctl restart elasticsearch.service
이제 설치한 플러그인으로 단어 형태소 분석이 잘 되는지 테스트를 해본다.
테스트는 간단히 Kibana Dev Tools 를 이용했다.
형태소 분석이 잘 이루어졌다.
이외에 추가로 사용자 단어 사전을 만들수도 있고 용도에 맞게 설정을 할수 있는데 설명이 잘 되어있는 이곳을 참고하면 도움이 많이 될것 같다.
https://esbook.kimjmin.net/06-text-analysis/6.7-stemming/6.7.2-nori
반응형
'Develope > Elasticsearc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lasticsearch - 기본 보안설정 (0) | 2021.10.22 |
---|---|
ELK Stack #2. Kibana 설치하기 (0) | 2021.10.13 |
ELK Stack #1. elasticsearch 설치하기 (0) | 2021.10.12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아이폰
- php
- OpenCV
- 서버
- 리눅스
- 미세먼지
- Python
- diy
- IOT
- ubuntu
- object-C
- 스위프트
- 머신러닝
- 사물인터넷
- mysql
- 파이썬
- Deeplearning
- Android
- 캠핑
- 강좌
- 라즈베리파이
- ios
- 아두이노
- 공기청정기
- 딥러닝
- 우분투
- 인공지능
- swift
- xcode
- 엘라스틱서치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